직접구로 뜸을 떠보았다. 인산 쑥뜸요법(영구법) -

 

췌장암 3기말 매일 커피와 레몬 관장을 번갈아 하는데 마약 착취를 면치 못하고 있다. 어머니가 붙이고 있는 마약성 통증의 악취를 없애기 위해 쑥뜸을 뜨라고 했다.

우리가 보통 한의원에 가면 큰 기구를 이용한 큰 용기나 작은 용기 등에 뜸을 뜨는데 이런 것은 간접 주먹이라는 것이다. 직접구(直直句)란 쑥뜸용 뜸을 고기 위에 직접 올리는 것을 말한다. 간접구와 직접구는 쑥도 다르다고 한다.

직접 구 중에서도 인산 선생으로부터 영구법을 권유받아 책을 구입해 읽었다.

옛날 인산 선생은 영구법으로 죽어 가는 사람도 살아남았고 특별한 약처방으로 많은 사람의 건강을 구했다고 한다.
그런데 책을 읽으면 읽기도 어렵지만 영구법은 더 엄격했다. 더구나 스스로 남에게 뜸을 뜨는 것은 불법이라고 한다. 의료인이어야 할 것 같은데 주변 한의원에서 직접 영구법으로 뜸을 뜨는 곳이 없는 것 같다.
인산 쑥뜸 책에는 어떤 쑥을 쓰는지, 어떻게 쑥뜸에 쓰는 뜸을 만드는지가 소개돼 있는데 처음에는 쌀 반 크기에서 점점 크기를 늘리면서 뜸봉이 타는 시간을 늘려가는 것 같았다.
어렸을 때 늙은 할아버지가 한의원이랄까. 아무튼 거기서 스스로 뜸을 떠드렸던 기억이 있다. 정확한지는 모르겠지만 쑥뜸을 크게 들어 불을 붙이되 다 태우기 전에 치우고 얹고 반복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런데 인산쑥뜸의 영구법은 달렸다. 그대로 태우다. 그리고 하루만 하는 것도 아니고 며칠 뜸을 뜬 뒤 고약을 바른다고 한다.

영구법을 시행할 때는 금기사항도 있었지만 이 세 가지를 반드시 지켜 뜸을 뜨게 해야 한다고 되어 있다. 엄마한테 뜸을 뜨든지 알아서 해보라고 해야 하는데 마약 패취를 미리 할 수도 없고 우선 좀 쉬운 방법을 찾아보기로 했다.






직접 검색하자 구당 김남수 선생의 무극보양구가 나왔다. 이 방법도 직접 굽지만 쌀 절반 정도의 크기로 구멍을 메우는 방법이었다. 그리고는 오래 가지 못할 것 같아서 무극보양뜸 영상으로 찾아보았다. 그리고 도전을 해보기로 했다.

(영구법의 영상은 찾아 보면 많지만, 블로그에는 올릴 수 없다. 관심있으신분들은 영구법으로 검색해보세요..)

인산쑥뜸 책 구입, 뜸 재료도 장만했다. 직접구와 간접구는 쑥도 다른 것을 쓴다고 한다. 직접 구이는 3년 동안 숙성한 쑥을 사용하지만 인산쑥뜸에서는 그 중 한 가지만을 사용한다고 한다. 효능이 좋다고 하지만 처음이라 비싸다는 말이 있어 강화 사자밭에서 약쑥을 구입했다. 가격이 1만원 정도 했나?
그리고 불을 붙일 때 쓸 향리도 구입했다.





책을 읽고 영상을 찾아봤는데 우선 내 살에 뜸을 뜨기로 했다. 그러나 그 결과 엄마에게 직접 뜸을 뜨지는 못하는 듯했다.

쌀 반 크기로 쪘지만 역시 뜨거웠다.그래도 너무 작아서 참을 만해서 다섯 번(처음부터 무리했던 것 같다)을 한 순간에 뜸을 떴더니 자리가 시커멓게 변해서 이상하게 뱃속에 통증이 느껴졌다.

다음날까지 별다른 치료를 하지 않고 뜸을 뜨지 않았는데. 검게 변해버린 피부가 따끔거리는 아픔과 뱃속의 통증이 동시에 느껴졌다. 고약은 붙이지 않아도 될 것 같아서 그냥 마디폼을 붙였더니, 다음에 보니 상처에 진이 고여 있었다. 아...

2주가 지났지만 아직도 상처 치료를 받고 있다.




쑥뜸 요법, 그것도 스스로 뜸을 뜨는 것이 어쩌면 효과가 있을지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섣불리 시작했다가는 상처만 남는다는 생각이 든다. 그분은 어떻게 이런 뜸을 뜨실 수 있는지... 아무튼 직접구는 어렵고 간접구를 해보기로 했다.

오래 전부터 소화가 안 되거나 했을 때 대장이 손바닥에 이것으로 뜸을 뜨게 했는데 효과가 있었기 때문에 이보다는 간접구가 더 효과가 있지 않았나 하는 생각 때문이다. 한방병원에서 뜸을 뜨면 배도 따뜻해지고 한결 편해지니 한번 시도해 보기로.

뭐든지.. 일루의 희망이 있으면 시도해보고 싶다. 매일 기도한다 길을 인도해 주세요 하느님의 뜻 속에서 길을 잃지 않도록

그리고 오늘은 암환자의 고통이 해소되길 기원한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부추메밀전 부추전 레시피 메밀가루로

일본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한국 여배우, 남자 배우, 영화 배우 인기 랭킹

미래의 상제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