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구글 스칼라(Goodle Scholar)
학술 논문에 좋은 구글 컬러(Goodle Scholar)를 사용하는 법안, 안녕하세요 소닉입니다.네이버 그린 검색창을 이용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요즘에는 구글 검색을 하시는 분들도 꽤 많아졌습니다.
오늘은 구글 서비스 중에 좋은 게 있거든요! 그게 바로 구글 스칼라예요.한 번 보시죠!
구글 스카라(?) 그게 뭐예요? Scholar라는 영어는 학자를 뜻하는 영어 단어다.구글(Google) 스컬러가 대략 어떤 것인지 알 수 있습니까?라는 말 그대로 학문에 관한 서비스인데 구글 스컬이라는 학술자료를 검색하는 구글의 확정 검색 서비스다.주된 이용층은 교수나 연구자, 대학원생입니다.보통학술검색이라고하면국내논문이많은RISS나DBpia를많이이용하죠!이번기회에스칼라를체험해보는것도좋을것같습니다.
이곳은 영어논문 검색이 편하니까요~!!!
구글이든 네이버든 <구글 스카라> 검색하면 바로 나와요.
구글 스칼라를 입력하면 메인 화면에 "거인의 어깨에 서서 더 넓은 세상을 보라" - 아이작 뉴턴 "거인의 어깨에 서서 더 넓은 세상을 보라" - 아이작 뉴턴이라고 있어요.아주 멋진 말입니다.
▲구글의 스칼라 검색팁="키워드 검색팁"=인터넷은 너무 커도 너무 커도, 스칼라 역시 마찬가지입니다.이걸 다 읽고 찾기 시작하면 저승으로 갈 것 같네요.
이럴 때는 내가 검색하고자 하는 단어가 반드시 들어가도록 강제 검색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따로 설정하는 게 아니라
검색어에 큰 따옴표를 달아주시는 거예요.
스마트폰 중독을 검색하려면 '스마트폰 중독' 이렇게 검색하면 돼요.
이제 실제 예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저는 카탈레이스를 검색해 봤어요지금 어깨 레이스를 하면 약 114개가 나오는데큰 따옴표를 이용해서 '달걀레이스'를 해볼게요
그냥 큰 따옴표만 달았을 뿐인데 큰 차이가 있었죠?원래는 100개가 넘는 검색 결과가 반 65개까지 줄어들었어요.구글 스카라 언어설정학과가 영어과라면 몰라도... 웬만해서는 다 영어울렁증이 있을겁니다.영어가 익숙하지 않다면 영어 논문을 읽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우리 같은 분들을 위해 구글 스카라가 언어 설정에서 원하는 언어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먼저 구글 스카라에 들어가셔서 화면 왼쪽 상단에 있는 막대 3개를 눌러주세요!작대기 3개를 눌러주시고 다양한 항목이 표시되는데요, 그 중 맨 아래 설정을 눌러주세요!이것도 같은 설정을 하면 여러 개가 표시되는데 그 안에서 언어를 눌러주세요.그 다음 언어 탭을 클릭하시면 구글 텍스트 언어는 한국어로 바꾸시면 편리합니다.그리고 검색 결과에는 언어가 있는데요, 이것은 내가 검색했을 때 나오는 학술 자료가 어떤 언어인지 설정하는 것입니다.이건 그냥 모든 언어로 해두는게 아무래도 검색결과가 더 많잖아요?거의 영어로 검색되겠지만…구글 스칼라 대학으로 연결되는 논문이나 학술 자료를 보는 것은 보통 PDF로 다운로드 받는 경우가 많아요.이런 경우는 유료로 밖에 다운로드 할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근데... 하루에 어떻게 다들 돈 내고 보죠?이런 때를 대비해서 저희 대학과 연결하면 무료로 볼 수 있는 논문을 할 수 있어요!!
그 대신 대학교 도서관 아이디가 필요해요.
아까 언어 설정을 하고 있었을 때 바로 밑에 '라이브러리 링크'라고 있어요그거 보면 자기가 다니는 대학을 졸업하고 로그인 하세요.그다음 구글 스카라로 돌아가시면 [Find it @] 옆에 이런 모양이 보이실 거예요이런건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어요!서울대는 로그인 하지 않아도 자료가 나오고 서울대는 추가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이상입니다 혹시 모르는 거나 궁금한 거 있으면 물어봐주시면 대답해드리겠습니다구글 스카라를 사용하고 있으면 점점 익숙해지기 때문에 이것만 사용하게 됩니다.그만큼 편리하고 사용하기 쉽습니다.혹시 대학 안 다녀도 모르는 거나 궁금한 거 있으면 구글 스카라를 사용해 보세요!